무료
출품 마감일
30 4월 25
0€
국가, 장르, 형식에 구분 없이 음악을 소재나 주제로 한 다양한 최신 장편 음악영화로 구성되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공식 국제경쟁부문
01 4월 2025
출품 요청
30 4월 2025
최종 마감일
27
일
30 8월 2025
통지일
04 9월 2025
09 9월 2025
영화제 시작: 04 9월 2025 영화제 끝: 09 9월 2025
제21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2025년 9월 4일(목) ~ 9월 9일(화) 총 6일간 충청북도 제천시 일원에서 개최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Jecheon International Music & Film Festival, JIMFF)는 세대와 취향의 벽을 뛰어 넘어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아시아 최초의 음악 전문 영화제로서 동시대 음악영화의 흐름을 짚어보며 다양한 음악 세계를 주제로 한 영화를 소개한다. 전 세계의 창의적인 영화인들과 음악인들을 발굴하고 지원하며, 음악과 영화가 어우러지는 역동적인 페스티벌을 지향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Jecheon International Music & Film Festival, JIMFF)는 사단법인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주최하고,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집행위원회가 주관한다.
1) 시상부문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국제경쟁 부문 Grand Prize
한화 2천 만원 상금과 상패 | 감독에게 수여
뮤직인사이트 부문 Music InSight
한화 2천 만원 상금과 상패 | 영화음악가에게 수여
뉴탤런트 부문 New Talent
한화 1천 만원 상금과 상패 | 영화음악가에게 수여
※모든 시상 내역과 명칭, 상금 규모는 영화제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 부문에서 수상작이 두 편 이상으로 결정되었을 때는 상금을 수상작 편수로 나누어 지급한다.
2) 심사위원
경쟁부문은 각 부문별로 최소 3인 이상의 국내외 영화 및 음악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심사를 진행하여 수상작을 결정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부문별 심사위원회의 구성 및 위촉을 책임진다.
■ 영화 프로그램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영화프로그램은 ‘경쟁’부문과 ‘비경쟁’부문으로 구성된다.
경쟁부문
1) 국제경쟁
국가, 장르, 형식에 구분 없이 음악을 소재나 주제로 한 다양한 최신 장편 음악영화로 구성되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공식 국제경쟁부문
2) 뮤직인사이트
전년도에 제작된 모든 한국 장편 영화를 대상으로, 역대 제천영화음악아카데미 수료생들의 투표를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영화음악을 선정하고 소개하는 경쟁 부문
3) 뉴탤런트
장르, 형식, 길이, 주제에 제한 없이 모든 영화를 대상으로 하여, 유망한 한국 신인 영화음악가를 발굴하고 소개하는 경쟁 부문
비경쟁부문
1) 트리뷰트
영화와 음악의 중요한 흐름을 이끈 거장, 단체, 작품을 조명하며 시대와 예술을 이어가는 프로그램
2) 음악영화풍경
다양한 주제와 형식 속에서 동시대 음악영화의 흐름을 조망하고, 음악이 이끄는 영화적 상상력과 표현의 확장을 탐구하는 섹션
3) JIMFF 패밀리
다양한 세대와 커뮤니티가 함께 참여하고,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영화 경험을 만들어가는 프로그램
■ 출품
1) 출품 기간: 2025 년 4 월 1 일(화) ~ 4 월 30 일(수) 23 시 59 분 (한국 표준시, KST)
2) 출품 대상: 2023 년 1 월 1 일 이후 제작된 장편, 단편, 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실험영화 등 모든 길이와 장르의 영상물을 대상으로 하며, 각 부문별 출품 자격에 부합하지 않거나 제출서류 미비 또는 제출방법을 준수하지 않는 신청자의 작품은 선정 심사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 각 부문별 자격 기준
2023년 1월 1일 이후 제작된 극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실험영화 등 모든 형식과 장르의 영상물
- 국제경쟁
음악과 사운드를 주요한 이야기 요소 또는 형식적 기반으로 삼은 다양한 음악영화 장편 & 한국(코리아)프리미어
- 뉴탤런트
첫 번째 혹은 두 번째 한국영화음악 작업을 포함한 모든 영화 장·단편
- 비경쟁부문
음악과 사운드를 주요한 이야기 요소 또는 형식적 기반으로 삼은 다양한 음악영화 장·단편
- 메이드인제천
충청북도 지역에 기반한 모든 영화 장·단편
3) 장·단편의 구분
출품작의 장편과 단편의 구분은 50 분을 기준으로 50 분 미만일 시 단편, 50 분 이상일 시에는 장편으로 규정한다.
4) 영화제 최초 상영 조건
국제경쟁부문에 선정된 장편 영화는 제 21 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이전에 국내 다른 어떤 곳에서도 상영되지 않은 음악영화 이어야 한다. (최소 조건: 한국 프리미어)
5) 작품의 국적 구분
영화 및 비디오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 2 조에 부합하는 제작 또는 공동 제작 작품의 경우 한국영화로 구분한다. 단,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판단에 따라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6) 출품 접수비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출품자로부터 별도의 접수비를 받지 아니한다.
7) 출품 방법
- 출품자는 출품신청서에 심사용 스크리너 링크를 포함하여 2025 년 4 월 30 일 23시 59분 (한국 표준시, KST) 까지 접수해야 한다.
- 출품신청서 작성과 스크리너 링크 업로드가 완료된 상태만 접수된 것으로 간주한다.
- 심사용 스크리너 제출 가이드
• Vimeo, YouTube 등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에 심사용 영상을 업로드한 후, 그 URL을 출품 신청서에 기입한다.
• 영상의 보안을 위해 출품자가 비밀번호 혹은 비공개 업로드 등의 설정을 이용할 것을 원칙으로 하며, 비밀번호 설정 시 비밀번호도 URL과 함께 제출한다.
• 심사용 영상의 내용과 영화제 최종 상영본 영상의 내용은 반드시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 심사용 영상 제출 이후 편집이 가해진 경우 영화제에 그 사실을 미리 고지해야 한다.
• 모든 심사용 스크리너는 8월 말까지 시사가 가능하도록 유효기간을 설정해야 한다.
- 지역영화 공모 ‘메이드 인 제천’은 출품 자격에 따른 증빙서류를 필수 제출해야 한다.
• 키 스태프(key staff) 중 1인 이상이 제천시 또는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경우: 전체구성원리스트 + 주민등록등본
• 키 스태프(key staff) 중 1인 이상이 제천시 또는 충청북도에서 활동을 하는 경우: 전체구성원리스트 + 구성원 지역 내 활동 내역서 + 활동증명서
• 키 스태프(key staff) 중 1인 이상이 충청북도 내 주소지를 둔 대학교(대학원 포함)의 재/휴학생이거나 졸업생인 경우: 전체구성원리스트 + 재학/휴학/졸업증명서
• 제천시를 포함한 충청북도 공공기관 주관의 지원금으로 제작된 작품: 전체구성원리스트 + 선정확인서
• 충청북도의 지역적 요소가 주요 모티브이거나 충청북도 지역 로케이션 촬영이 1회차 이상인 경우: 시나리오 + 지역촬영내역서
8) 저작권
출품자는 출품한 영화 안에 사용된 음악이나 영상 등의 저작권을 영화제 개막 전 직접 해결해야 한다. 영화제는 이 부분에 관해 출품자에게 별도로 확인하지 않으며, 저작권 침해로 야기될 수 있는 법률적인 문제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작품에 포함된 저작권에 관한 문제에는 어떠한 경우에도 출품자가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
■ 작품 선정
1)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출품된 작품은 영화제 프로그램 선정위원회의 심사에 의해 각 부문의 상영작으로 선정된다. 영화제 상영이 확정된 작품에 한하여 8 월까지 개별 연락하여 공지한다.
2) 선정된 작품이 상영될 프로그램 부문은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 전적으로 결정한다.
3) 제천국제음악영화제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상영이 확정된 작품은 출품을 철회할 수 없다.
4) 출품신청서에 사실과 다른 사항이 기재되었을 경우,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선정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작품 선정을 취소할 수 있다.
■ 선정작에 대한 규정 및 가이드 (※공식 상영작으로 선정된 작품에 한함)
- 자료 제출 및 활용
1) 자료 제출
작품이 선정된 경우, 선정작은 영화제의 요청에 따라 하기의 명시된 자료를 기한 내에 적극 제출하여야 한다.
• 상영작 스크리너 H.264 .mov 또는 .mp4 / AAC (Image Size : 1920 X 1080)
• 영문 및 원어 대본
• 국/영문 시놉시스
• 감독 사진 및 영화 스틸 컷 (최소 3장 / 300 dpi)
• 감독 필모그래피 및 바이오그래피 국/영문
• 포스터
• 캐스트 및 크레딧
• 트레일러 (영상파일)
• 프레스 키트 (선택사항)
2) 자료 활용 동의
• 선정작이 제출한 자료들은 영화제 전후 홍보 자료로써 프로그램 카탈로그를 포함한 영화제가 직접 제작하는 공식 출판물, 홍보물, 옥외홍보물, 웹사이트에 활용된다.
• 영화제 홍보의 범위는 홈페이지, 매체(신문, 방송, 잡지 등), 소셜미디어 등 통상적으로 홍보 활동이 이루어지는 모든 채널을 포함한다.
• 영화제는 영화제 홍보용 영상 제작을 위하여 제출된 스크리너 및 트레일러를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출품자가 홍보용 영상물을 별도로 제출하지 않은 경우, 영화제는 수급한 영화의 스크리너, 트레일러 또는 상영작 본편 중 3 분 이내의 영상을 추출하여 홍보용 영상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출된 상영작 스크리너는 영화제 기간 중 영화제를 방문하는 국내외 심사위원, 기자, 평론가, 인더스트리 등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비디오 시사실에서 사용될 수 있다.
• 영화제는 저작권자가 제출한 사진에 대해서만 그 이용의 권한을 가지며, 사진의 저작권자 표기가 별도로 필요한 경우에는 제출자는 자료 제출 시 필히 알리도록 한다.
• 영화제 측에 제출된 자료는 별도의 요청이 없는 한 반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선정작 작품 관계자의 별도 요청 시, 해당 자료는 영화제 폐막 이후 파기한다.
- 상영본
1) 종류 및 규격
상영이 확정된 경우, 출품자는 영화제가 요청하는 기한 내에 영화제 안내에 따라 반드시 영문 자막이 합본된 최종 상영본 및 기술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 선정된 출품작의 최종 상영본 규격은 다음과 같다.
DCP
• 외장하드: 3.5” 또는 2.5” 혹은 CRU 하드드라이브 * USB 3.0 선호
• 하드 디스크 형식: 윈도우 NTFS 또는 리눅스 Ext2, Ext3
• 이미지 사이즈: HD, Full, Flat, Scope @ 2K
• 프레임 레이트: 24fps-InterOP, 25fps-SMPTE, 30fps-SMPTE
• 인코딩: JPEG 2000
• 색 공간: X’Y’Z’ DCDM
• 비트레이트: 250Mbit/s 이하
• 사운드: 2채널 또는 5.1채널 *7.1 채널불가
• 자막: XML 자막 파일을 선호하며, 화면에 번인 된 형식의 자막 또한 가능하다. 폰트 파일의 용량은 640kb 이하로 한다.
ProRes
• 코덱: Apple ProRes 422(HQ) 동일하거나 그 이상
• 이미지 사이즈: HD, Full, Flat or Scope @ 2K
• 프레임 레이트: 24fps, 25fps, 30fps *23.976pfs/29.97fps 불가
• 주사 방식: 프로그레시브 *인터레이스 불가
• 사운드: 2 채널 또는 5.1채널 *7.1채널 불가
• 자막: 영문 자막이 번인된 형태를 요하며, 화면 내에 위치 해야 한다.
Blu-ray/DVD
• Blu-ray나 DVD는 제한적으로만 허용하며, 기타 아날로그 필름(예: 필름, 테이프 등)은 불가하다.
2) 상영본 운송 안내
영화제는 선정된 작품에 한하여 상영본 제공처에 ‘상영본 운송 안내문’과 ‘상영본 규격 안내문’을 전달한다. 안내문 숙지 후, 영화제가 요청하는 기한 내에 최종 상영본을 영화제에 제출해야 한다.
3) 운송비
최종 상영본의 왕복 오프라인 운송료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조직위원회가 부담한다. 이 사항은 최종 상영본의 발송지와 수신지가 동일한 경우 (사전에 합의된 특별한 경우 제외), 영화제 공식 운송 업체를 이용한 경우에만 해당한다. 이 사항을 따르지 아니한 경우 발생한 운송료 및 관세 부과 등의 추가 비용은 영화제가 부담하지 않는다. 또한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의 상영 후 타 영화제로 상영을 위해 상영본을 보낼 경우, 운송료는 다음에 상영할 영화제가 지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상영본 반환
모든 상영본은 요청에 의한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 영화제 종료 후 4 주 이내에 출품신청서에 기재된 반송처로 반납함을 원칙으로 한다.
-상영
1) 상영 스케줄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상영작의 상영 날짜, 시간, 상영관은 영화제가 정한다.
2) 영어자막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상영작의 최종 상영본은 반드시 영문 자막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자막의 내용이나 기술적 완성도가 미비한 경우, 상영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
3) 한글자막
한국어 대사가 아닌 작품의 경우,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상영을 위한 한글 자막을 제작한다. 영화 상영을 위해 해당 한글자막으로 새로이 한글자막이 포함된 DCP를 제작할 수 있으며, 해당 DCP 는 영화제 폐막 이후 모두 폐기한다.
4) 한글자막 소유권
제작된 한글 자막은 출품자에게 제공되지 아니하며,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그 소유권을 갖는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자막 제작비에 기초한 내부 기준에 의거하여 해당 한글 자막을 외부에 유상으로 대여하거나 판매할 수 있다.
5) 온라인 상영
• 선정작은 오프라인 상영을 원칙으로 하되 코로나 19 등의 사회 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영화제 기간에 한해 온라인 상영 플랫폼에서 상영할 수 있다. 온라인 상영은 별도의 논의 과정을 거쳐 이에 동의한 작품에만 해당되며, 해당 작품은 국내에 한해서 볼 수 있다.
• 영화제는 온라인 상영에 동의한 선정작에 한해 온라인 상영을 위한 무자막본 디지털 상영 파일을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해당 상영본을 영화제에 제공할 수 없을 경우 온라인 상영은 취소될 수 있다.
• 온라인 상영을 위해 영화제에 제공된 모든 자료는 영화제 폐막 이후 폐기한다.
■ 기타 규정
1) 보상규정
• 영화제는 영화제 기간 동안 보관 중인 상영본이 유실 및 손상된 경우, 상영본 제공자에게 새로운 상영본 한 벌의 제작비용 또는 손실 부분에 대한 대체 비용을 보상한다. 보상비용은 상영본 제작 업체의 현행 제작비용을 기준으로 한다.
• 본 영화제 측의 부주의한 관리에서 비롯된 자료의 유출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지도록 한다.
2) 아카이브 활용 및 동의
•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상영작의 모든 스크리너 영상물(Digital File 또는 DVD/Blu-ray)은 본 영화제가 운영하는 아카이브에 영구 보관함을 원칙으로 하며 음악영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 연구, 상영회 등 비영리 및 공익 목적으로 열람 및 활용할 수 있다.
•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 상영된 모든 작품은 감독 또는 대리인의 별도 동의를 받은 경우에 한해, JIMFF 투어 상영 또는 상업적 공개 상영에 포함될 수 있다. 수상작의 경우, 영화제는 영화제 종료 후 1 년 간 JIMFF 투어 상영에서 상영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 일반규정
•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출품작의 제작자, 국내 또는 해외 배급 판권 소유자가 직접 온라인 출품페이지에 접속하여 출품 작성 완료 후, 제출함으로써 상기의 모든 출품규정을 이해 및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고 그 효력을 갖는다.
• 상기 규정에 포함되지 않은 사안은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집행위원회에서 결정한다.
• 천재지변 및 사회적 위기 상황 발생 시 위 규정의 내용에서 변경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규정 변경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련한 내용은 상호 동의 하에 협의할 수 있다.
무료
출품 마감일
30 4월 25
국가, 장르, 형식에 구분 없이 음악을 소재나 주제로 한 다양한 최신 장편 음악영화로 구성되는 제천국제음악영화제의 공식 국제경쟁부문